"따뜻한 차 한 잔에 생강을 넣으면 몸이 절로 따뜻해지는 기분이 들어요."
"생강은 건강에 좋다고 하던데, 어떻게 키우는 걸까요?"
10월 김장철이 되면서 생강에 대한 소비가 증가합니다. 더불어 날이 추워지기 시작하는 10월이후 부터 생강에 대한 효능으로 찾는 사람들이 많아지는데요. 햇생강이 나오는 10월 정확한 수확시기와 함께 생강효능에 대해 알아보세요.
1. 생강 수확시기와 효능 알아보기
생강 파종 시기는 지역과 기온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땅이 어느 정도 풀린 후인 봄에 파종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역별 생강 파종시기(심는기간)
- 남부지방: 4월 초
- 중부지방: 4월 중순~5월 상순
Q. 생강 수확 시기는 언제일까?
보통 파종 후 5월 말에서 6월 중순 사이에 생강 싹이 올라옵니다. 생강 잎이 초록색에서 연두색 또는 약간 누렇게 변하거나 꽃대가 올라오면 수확 시기가 가까워진 것입니다. 수확 시기는 일반적으로 상강(서리가 내리기 시작하는 시기) 무렵입니다.
✔️상강(霜降)에 대해
상강(霜降)은 24절기 중 18번째 절기로, 보통 양력 10월 23일 무렵에 해당합니다.
- 뜻: 서리가 내리기 시작한다는 뜻으로, 가을이 깊어지고 겨울이 다가오는 것을 알리는 시기입니다.
- 특징:
- 기온이 낮아지면서 밤사이 서리가 내리기 시작합니다.
- 낮과 밤의 기온 차가 커지고, 대기가 건조해집니다.
- 낮에는 따뜻하지만 아침저녁으로는 쌀쌀한 날씨가 이어집니다.
- 단풍이 절정에 달하고, 낙엽이 지기 시작합니다.
2. 몸에 좋은 생강 심어보기
1) 종자 준비: 묵은 생강 중 건강하고 튼튼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합니다.
- 종자 소독: 병해충 예방을 위해 종자를 소독하는 것이 좋습니다.
- 싹 틔우기: 따뜻하고 습한 환경에서 싹을 틔우면 발아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2) 심는 방법:
- 심는 간격: 파종 간격은 25cm 정도, 줄 간격은 30cm 정도를 유지합니다.
- 심는 깊이: 3~4cm 정도 깊이로 심습니다.
- 복토: 심은 후 흙으로 가볍게 덮어줍니다.
3. 생강, 잘 키우는 법
- 잡초 관리: 잡초는 생강의 성장을 방해하므로 꾸준히 제거해줍니다.
- 물 주기: 가뭄이 심할 때는 물을 충분히 공급해줍니다.
- 비료 주기: 생육 기간 중 2~3회 복합비료를 시비해줍니다.
- 멀칭: 볏짚 등으로 멀칭을 하면 잡초 발생을 억제하고 토양의 수분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4. 수확한 생강, 어떻게 보관할까?
생강은 가을에 수확하는 구근류(뿌리식물) 입니다. 일반적으로 감자, 고구마 보관법과 같이 서늘하고 통풍이 잘되는곳에 보관해주시면 좋습니다. 너무 습한곳에 두면 습기로인해 곰팡이가생길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 땅을 파고 생강을 조심스럽게 캐냅니다.
- 잔뿌리를 제거하고 흙을 털어냅니다.
- 통풍이 잘 되는 곳에서 건조시킵니다.
5. 생강 재배 성공을 위한 추가 팁
- 병충해 관리: 거세미나방 애벌레의 피해를 주의해야 합니다.
- 겨울철 보관: 서늘하고 건조한 곳에 보관하면 오래도록 신선하게 즐길 수 있습니다.
생강, 몸을 따듯하게 하는성질
생강은 몸을 따뜻하게 해주고 소화를 돕는 등 다양한 효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생강에 함유된 진저롤 성분은 항산화 작용과 소염 작용을 하여 건강 증진에 도움을 줍니다.
생강의 효능
- 몸을 따뜻하게 해주고 혈액순환을 촉진
- 소화를 돕고 체기를 해소
- 면역력 강화
- 염증 완화
- 진통 효과
직접 키운 생강으로 차를 마시거나 요리에 활용하여 건강을 챙겨보세요.
이 글을 통해 생강 재배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하고, 건강한 생강을 직접 키워보시길 바랍니다.
밤낮으로 기침이 오래가면 의심되는 질병
매일이 콜록콜록, 목이 간질간질 하신가요? 환절기만 되면 찾아오는 불청객, 기침! 가벼운 감기부터 심각한 질환까지, 다양한 원인이 숨어있을 수 있습니다. 오래 지속되는 기침은 단순한 불편
033gangwon.tistory.com
'음식과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장철 새우젓 종류 (오젓, 육젓, 추젓) 와 새우젓 효능 (1) | 2024.10.18 |
---|---|
총각김치 맛있게 담는법 (알타리 김치 재료) (1) | 2024.10.17 |
절임배추 20kg 포기 갯수, 해남배추 고랭지배추 선택 (0) | 2024.10.15 |
알타리김치 맛있게 담는법 - 초롱무, 김장무랑 달라요! (0) | 2024.10.15 |
가을 꽃게 찌는 방법, 꽃게 손질법 1분 요약 (5) | 2024.10.11 |
댓글